Post

주식 초보를 위한 기초 EPS, BPS 개념

주식 초보를 위한 기초 EPS, BPS 개념

EPS, BPS 완벽 이해: 주식 초보를 위한 기본 가이드

주식을 공부할 때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EPS(주당순이익)BPS(주당순자산가치)다.
이 두 지표는 주식이 비싼지 싼지를 판단하는 PER, PBR의 기초가 되며, 기업의 수익성과 재무 건전성을 이해하는 출발점이 된다.

투자

1) EPS (Earnings Per Share, 주당순이익)

정의

EPS는 기업이 일정 기간 동안 벌어들인 순이익을 주식 1주당으로 환산한 값이다.
쉽게 말해 “내가 가진 1주가 1년 동안 얼마를 벌어줬는가”를 보여주는 지표다.

  • 공식: EPS = 당기순이익 ÷ 발행주식수

여기서 당기순이익은 기업이 매출에서 비용, 세금까지 모두 제하고 최종적으로 남긴 이익이다.


계산 예시

  • 어떤 회사의 1년 순이익이 1,000억 원
  • 발행된 주식수가 1억 주라면

EPS = 1,000억 ÷ 1억 = 1,000원

즉, 이 회사의 주식 1주는 1년 동안 1,000원의 이익을 벌어들였다는 뜻이다.


해석

  • EPS가 높다 → 1주당 벌어들이는 이익이 많다 →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
  • EPS가 낮다 → 1주당 이익이 적다 → 수익성이 떨어진다.
  • EPS가 음수 → 적자 기업, 이익 대신 손실을 내고 있다.

EPS가 해마다 꾸준히 성장한다면, 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신호다.


투자에서의 의미

  • PER(주가수익비율)을 계산하는 기초 지표다. (PER = 주가 ÷ EPS)
  • EPS가 높을수록 같은 주가에서도 PER이 낮아져 상대적으로 저평가로 볼 수 있다.
  • EPS의 성장 추세를 보면 기업의 장기 성장성을 판단할 수 있다.

2) BPS (Book Value Per Share, 주당순자산가치)

정의

BPS는 기업이 보유한 순자산을 주식 1주당으로 나눈 값이다.
쉽게 말하면 “이 회사가 문을 닫고 자산을 다 팔아서 빚을 갚은 뒤 남은 돈을 주주들에게 나눈다면, 1주당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라는 개념이다.

  • 공식: BPS = 자기자본 ÷ 발행주식수

여기서 자기자본(순자산)총자산 - 총부채로 계산된다.


계산 예시

  • 어떤 회사의 총자산: 5조 원
  • 총부채: 3조 원 → 자기자본 = 2조 원
  • 발행주식수: 1억 주

BPS = 2조 ÷ 1억 = 20,000원

즉, 이 회사의 주식 1주의 장부가치는 2만 원이라는 뜻이다.


해석

  • BPS가 높다 → 회사가 보유한 자산이 많다 → 재무적으로 튼튼할 수 있다.
  • BPS가 낮다 → 자산 대비 규모가 작거나, 부채가 많아 자기자본이 적다는 의미다.

현재 주가가 BPS보다 낮다면 “시장에서는 장부가치보다 싸게 거래되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반대로 주가가 BPS보다 높으면 시장이 미래의 성장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투자에서의 의미

  • PBR(주가순자산비율)을 계산하는 기초 지표다. (PBR = 주가 ÷ BPS)
  • PBR이 1보다 낮으면 저평가, 1보다 높으면 고평가로 해석하기도 한다.
  • 특히 은행, 보험, 제조업처럼 자산 규모가 중요한 업종에서 BPS는 의미가 크다.

3) EPS와 BPS 비교

구분EPSBPS
의미주당순이익주당순자산가치
기준기업이 벌어들인 돈기업이 가진 자산
기간일정 기간(보통 1년) 성과특정 시점의 자산 가치
활용PER 계산 (주가 ÷ EPS)PBR 계산 (주가 ÷ BPS)

EPS는 기업의 수익성, BPS는 기업의 안정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두 지표를 함께 보면 기업의 단기적인 수익성과 장기적인 재무 건전성을 동시에 이해할 수 있다.


4) 요약

  • EPS는 “1주당 이익”으로,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낸다.
  • BPS는 “1주당 자산가치”로, 기업의 재무 안정성을 나타낸다.
  • EPS는 PER, BPS는 PBR 계산에 활용된다.
  • EPS와 BPS를 함께 보면 “이 기업이 돈을 얼마나 잘 버는지”와 “재무적으로 얼마나 튼튼한지”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