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세븐나이츠 리버스 - 총력전 추천 덱 공략법

세븐나이츠 리버스 - 총력전 추천 덱 공략법

세븐나이츠 리버스 총력전 덱 추천 & 공략 가이드 (2025 최신)

총력전은 세븐나이츠 리버스에서 여러 보스를 상대로 다양한 덱을 운용해야 하는 고난도 콘텐츠입니다.
각 보스별 기믹에 맞춰 덱을 구성하고, 속도·스킬 순서를 최적화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최신 메타를 반영해 총력전 추천 덱 구성과 공략법을 정리했습니다.

세븐나이츠

1. 총력전 기본 구조 이해

  • 다양한 속성과 기믹을 가진 보스를 순차적으로 상대
  • 각 보스별로 덱 교체 가능 (영웅·장비·진형 모두 변경 가능)
  • 주간 랭킹 및 누적 점수에 따라 보상 차등 지급
  • 목표: 제한된 영웅 풀로 최대 점수를 뽑아내는 전략 운용

2. 보스별 기믹 & 추천 덱

2-1. 파멸의 눈동자 (기절·화상)

  • 주요 기믹: 광역 기절 + 화상 피해 누적
  • 핵심 전략: 기절·화상 면역 영웅 중심
  • 추천 덱 예시:
    • 딜러: 에이스, 벨리카 (광역·다타수)
    • 보조: 레이첼(약점 강화), 블랙로즈(디버프)
    • 탱커: 에반(기절 면역)
    • 힐러: 유이(화상 면역)
  • 진형: 보진 → 안정성 확보 후 밸진 전환
  • 스킬 순서: 해제 → 광역딜 → 버프 → 극딜

2-2. 우마왕 (방어력 관통 & 방깎)

  • 주요 기믹: 강력한 방어력 관통 공격, 방어력 감소 디버프
  • 핵심 전략: 방깎 해제와 지속 회복
  • 추천 덱 예시:
    • 딜러: 크리스, 비담
    • 보조: 레이첼(약점 강화), 니아(해제)
    • 탱커: 루디
    • 힐러: 리나
  • 진형: 보진 고정
  • 스킬 순서: 해제 → 힐 → 디버프 → 딜

2-3. 마법병기 골렘 (실드·강화 해제 필요)

  • 주요 기믹: 주기적 실드 + 공격력 버프
  • 핵심 전략: 해제 스킬을 빠르게 넣어 실드 제거 후 딜 집중
  • 추천 덱 예시:
    • 딜러: 벨리카, 에이스
    • 보조: 세인(방깎), 블랙로즈(디버프)
    • 해제 담당: 니아, 파이
    • 힐러: 유이
  • 진형: 밸진 (빠른 턴 소모로 실드 재생 전 격파)
  • 스킬 순서: 해제 → 방깎 → 광역딜

2-4. 그림자 기사단장 (강력한 단일기·회피)

  • 주요 기믹: 단일 대상 고딜 + 높은 회피율
  • 핵심 전략: 명중률 증가, 단일 고딜러 기용
  • 추천 덱 예시:
    • 딜러: 크리스, 세인
    • 보조: 레이첼(약점 강화), 파이(명중 버프)
    • 탱커: 루디
    • 힐러: 리나
  • 진형: 보진
  • 스킬 순서: 명중 버프 → 약점 강화 → 단일 고딜

3. 총력전 덱 구성 팁

  1. 영웅 중복 운용 제한
    • 같은 영웅은 여러 보스에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역할군별 대체 영웅을 반드시 준비
    • 예: 기절 면역 → 에반, 유이 / 해제 → 니아, 파이
  2. 속도 조절
    • 해제·면역 스킬이 필요한 경우 반드시 해당 스킬이 첫 턴에 발동되도록 속도 세팅
    • 속도 > 생존 > 딜 순으로 우선순위
  3. 장비 세팅 분리
    • 탱커: 체력·방어·내성 중심
    • 딜러: 속도·치확/치피
    • 힐러: 속도·생존
    • 보조: 속도·유틸(해제·버프)
  4. 스킬 순서 저장 필수
    • 각 보스별로 스킬 순서 저장 기능을 활용해 AI 효율 극대화

4. 주간 운영 루틴

  • 월~화: 안정적인 덱으로 보스 패턴 분석 및 안전 점수 확보
  • 수~금: 장비·속도 세팅 변경, 딜·턴 단축 시도
  • 토~일: 기록 갱신 시도 (운빨 요소 반영, 고점 노리기)
  • 마감 직전: 안정 점수 유지 여부 확인

5. 마무리

총력전은 단순히 강한 영웅을 모아놓는 것이 아니라,
보스 기믹을 파악하고, 그에 맞춰 덱과 세팅을 바꾸는 ‘맞춤형 전투’가 핵심입니다.
위 추천 덱과 전략을 참고해 본인 보유 영웅에 맞게 조합을 변형하면, 주간 보상은 물론 랭킹 상위권도 충분히 노릴 수 있습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