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운자로와 젭바운드, 왜 이름이 두 개일까
마운자로와 젭바운드, 왜 이름이 두 개일까
마운자로(Mounjaro) vs 젭바운드(Zepbound)
최근 비만 치료제 관련 기사에서 마운자로(Mounjaro) 와 젭바운드(Zepbound) 라는 이름이 혼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 명칭은 서로 다른 약이 아니라 동일한 성분을 가진 약물이 적응증에 따라 다른 브랜드명으로 판매되는 것입니다.
1. 공통 성분
- 성분명: 티르제파타이드(Tirzepatide)
- 작용 기전: GLP-1(Glucagon-like peptide-1)과 GIP(Glucose-dependent insulinotropic polypeptide)을 동시에 활성화하는 이중 작용제입니다.
- 제조사: 미국 일라이릴리(Eli Lilly)입니다.
2. 마운자로(Mounjaro)
- 적응증: 제2형 당뇨병 치료제입니다.
- 미국 FDA 승인: 2022년 승인되었습니다.
- 브랜드명: 당뇨병 치료 목적으로 판매될 때 사용됩니다.
즉, 마운자로는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을 위해 허가된 브랜드명입니다.
3. 젭바운드(Zepbound)
- 적응증: 비만 및 체중 관리 치료제입니다.
- 미국 FDA 승인: 2023년 비만, 2024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 적응증이 승인되었습니다.
- 브랜드명: 비만 및 대사 질환 관리 목적으로 판매될 때 사용됩니다.
젭바운드는 동일 성분이지만 비만 및 대사질환 치료제로 허가된 브랜드명입니다.
4. 한국 내 현황
- 2025년 8월 국내에서 비만 적응증으로 젭바운드가 출시되었습니다.
- 국내에서는 비만 치료 목적의 젭바운드 명칭이 주로 사용되며, 마운자로라는 이름은 해외 정보나 당뇨병 관련 문헌에서 주로 확인됩니다.
5. 구분의 필요성
브랜드명을 용도별로 분리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마운자로(Mounjaro): 당뇨병 치료제 → 혈당 조절 목적을 강조합니다.
- 젭바운드(Zepbound): 비만 치료제 → 체중 감량 및 대사질환 관리 목적을 강조합니다.
같은 성분이지만 적응증이 다르기 때문에, 용도에 따라 명칭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의학적·상업적 혼동을 줄이는 데 유리합니다.
6. 정리
이름 | 적응증 | 승인 연도(미국) | 특징 |
---|---|---|---|
마운자로 | 제2형 당뇨병 치료제 | 2022 | 혈당 조절 목적입니다. |
젭바운드 | 비만·체중 관리, OSA | 2023 (비만), 2024 (OSA) | 체중 감량 및 대사질환 개선 목적입니다. |
결론
마운자로와 젭바운드는 동일 성분인 티르제파타이드를 기반으로 하지만, 적응증과 브랜드명이 구분되어 있습니다.
- 제2형 당뇨병 치료제일 때는 마운자로(Mounjaro) 입니다.
- 비만 및 대사질환 치료제일 때는 젭바운드(Zepbound) 입니다.
따라서 두 용어는 성분이 다른 약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 약물이 용도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사용되는 경우입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