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유상증자 vs 무상증자, 주가에 어떤 영향을 주나

유상증자 vs 무상증자, 주가에 어떤 영향을 주나

기업이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는 이유는 단순히 주식 수를 늘리려는 것이 아니라 자금을 조달하거나 자본 구조를 조정하기 위해서다. 대표적인 방식으로 유상증자무상증자가 있으며, 이름은 비슷하지만 회사로 실제 현금이 들어오는지 여부, 회계 처리 방식, 주가와 주식 수의 변화에서 큰 차이가 있다.

투자

유상증자

개념

유상증자는 기업이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고 투자자가 돈을 내고 그 주식을 받아가는 방식이다. 회사 입장에서는 새로운 현금이 들어오기 때문에 자본을 직접적으로 늘릴 수 있다.

목적

  • 공장이나 설비 확장, 연구개발, 인수합병 등 추가 투자 재원 마련
  • 부채 상환을 통한 재무 구조 개선
  • 운영 자금 보강

진행 절차

유상증자는 임의로 진행할 수 없다.

  • 먼저 이사회에서 증자 규모, 발행가, 배정 방식 등을 의결한다.
  • 그 내용을 공시한 뒤 주주에게 신주 인수권을 주거나 일반 투자자, 특정 투자자에게 청약을 받는다.
  • 청약과 납입 절차가 끝나면 신주가 상장되어 시장에서 거래되기 시작한다.

특징과 주가 영향

  • 발행 주식 수가 늘어나므로 기존 주주의 지분율이나 주당 이익(EPS)이 줄어드는 희석 효과가 생길 수 있다.
  • 대신 회사로 실제 현금이 유입되기 때문에 자본이 늘어나고 재무 안정성이 강화될 수 있다.
  • 신주는 보통 시가보다 할인된 가격으로 발행되기 때문에 권리락 이후 주가는 이론적으로 낮아진다.
  • 다만 실제 주가의 흐름은 발행 규모, 발행가 수준, 조달 자금의 사용처에 따라 달라진다.

무상증자

개념

무상증자는 회사가 외부에서 돈을 받지 않고 내부 자본(이익잉여금, 자본잉여금 등)을 활용해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고 기존 주주에게 나눠주는 방식이다. 말 그대로 주주 입장에서는 돈을 내지 않고 추가 주식을 받는 것이다.

목적

  • 주식 수를 늘려 거래량과 유동성을 높임
  • 체감 주가를 낮춰 더 많은 투자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함
  • 주주 친화적인 정책으로 활용되기도 함

진행 절차

무상증자 역시 이사회 결의와 공시 과정을 거쳐야 한다.

  • 증자 비율과 기준일이 공시된다.
  • 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한 주주들은 보유 주식 수에 비례해 새로운 주식을 배정받는다.
  • 신주가 상장되면서 전체 주식 수가 늘어난다.

특징과 주가 영향

  • 회사로 들어오는 현금은 없다. 총 자본 규모는 같고 회계상 자본 항목만 이동한다.
  • 주식 수가 늘어나므로 권리락 이후 주가는 이론적으로 비율에 맞게 조정된다.
  • 시가총액은 변하지 않는다.
  • 실제 주가의 움직임은 시장 심리, 수급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비교

구분유상증자무상증자
현금 유입있음없음
자기자본증가총액 변화 없음
주식 수증가증가
이론적 주가 조정발행가와 비율에 따라 하락비율만큼 하락
시가총액유입 자금만큼 증가변동 없음
절차이사회 결의, 공시, 청약 및 납입 후 신주 상장이사회 결의, 공시, 기준일 확정 후 신주 배정

정리

  • 유상증자는 회사로 실제 현금이 들어오는 증자 방식으로, 자금 조달 목적이 크다. 발행 주식 수가 늘어나면서 기존 주주의 지분율이 줄어들 수 있고, 발행 규모와 자금 사용처가 주가에 큰 영향을 준다.
  • 무상증자는 내부 자본을 활용해 주식을 나눠주는 방식으로, 회사 가치 자체는 변하지 않지만 주식 수 증가에 따라 주가는 조정된다. 실제 시장에서는 유동성 확대와 투자 심리에 따라 추가적인 변동이 발생하기도 한다.
  • 두 방식 모두 단순히 주식 수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명확한 절차와 이사회 결의, 공시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론적 계산과 실제 주가 흐름은 다를 수 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